교통비 아끼는 가장 똑똑한 방법
지금 부터 K-패스의 모든 혜택을 알려드리겠습니다
출퇴근길 마다 쌓여가는 교통비, 은근히 부담되시죠?
매일 타는 버스, 지하철이 현금처럼 환급된다고 하면 어떠신가요?
바로 이것이 K-패스 입니다.
대중교통만 타도, 다음 달에 최대 53%까지 돌려주는 제도입니다.
특히 2025년도부터는 다자녀 가구를 위한 파격 혜택까지 추가되며 한달에 수만원 환급도 가능해졌습니다.
K-패스란?
- 지원 대상 :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
- 적립 수단 : 버스(광역버스 포함), 도시 ·광역철도 (신분당선, GTX 등 포함), 공항철도 등 (다만, 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, 공항버스 등 별도로 발권받아 탑승가능하고,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- 지급기준 :
-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월 최대 60회 까지 지급 (가입 첫달은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지급됨)
- 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
- 이용횟수 기준 : 30분이내 승하차시 이용횟수 1회로 취급됨
- 일 2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
-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
-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%만 적용하여 지급 (경기, 인천은 해당하지 않음)
- 작년 5월부터 시행한 K-패스는 국민들의 높은 호응에 힘입어 이용자가 현재('25년 3월 기준)까지 300만명을 돌파
- '25년부터 '다자녀 가구'유형을 신설하여 별도의 환급률을 적용하여 혜택을 확대
- 자녀가 3명 이상인 이용자 a씨(만40세)가 요금 1,500원인 대중교통 60회를 탑습할 경우 27천원 추가환급가능
-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에 한해 K-패스 이용가능
k-패스 | 유형 정의 | 적립률 | 2,000원 기준 |
일반 | 타 유형에 해당하니 않는 자 | 20% | 400원 |
청년 | 「청년기본법」에 따른 만 19~34세 | 30% | 600원 |
저소득 | 「기초생활보장법」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| 53.3% | 1,070원 |
다자녀(2자녀) | 총 자녀가 2명 이상이며, 그중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성인 |
30% | 600원 |
다자녀(3자녀) | 50% | 1,000원 | |
비고 | - 월 15회 이상 이용 시, 월 최대 60회 (일 최대2회)까지 환급 - 복수의 유형에 해당할 경우, 높은 환급률 적용 |
다자녀 가구 유형에 해당하는 이용자는 K-패스 앱· 누리집 등의 "My메뉴 - 다자녀 정보" 에서 실시간 검증으로 해당 유형임을 인증한 뒤 환급률 상향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지자체 맞춤형 K-패스
1. [경기·인천] K-패스를 이용하는 경기도민 ·인천시민에게 '환급률 상향', 월 60회 제한 폐지 등 추가혜택 제공
* ( 경기·인천) 35~39세도 청년으로 인정 + 10%P(총30%) / (인천) 65세 이상 + 10%(총30%)
2. [부산] 동백패스 이용자가 K-패스 가입 시 동백패스와 K-패스의 혜택을 자동으로 비교하여 둘 중 더 큰 금액으로 환급
(부산 대중교통 이용금액 월 4만5천원 초과시 초과금액을 최대 4만5천원까지 지역화폐로 환급)
3. [세종] 월 2만원 선결제 시 충청권 대중교통 5만원까지 무료 이용 혜택
- 5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K-패스 혜택(20~53%)만 적용
4. [광주] K-패스를 이용하는 광주시민 대상 청년 범위 확대, 저소득층 환급률 상향 등 추가 혜택 제공
- 청년 범위 39세까지, 65세이상 +30%P (-> 총50%), 저소득층 +10%P (-> 총 64%)
5. [경남] K-패스를 이용하는 경남도민 대상 청년 범위 확대, 저소득층 환급률 상향, 월 60회 제한폐지 등 추가 혜택 제공
- 월 61회~무제한 지원, 청년 범위 39세까지, 저소득층 +47%P(->총100%), 75세이상 어르신 최소횟수 제한 폐지(월1회 이상 이용시) 추가혜택 +80%P (->총100%)
구 분 | K-패스 | The경기패스 | 인천I-패스 | 동백패스 | 이응패스 | 광주G패스 | 경남패스 | |
지 원 대 상 |
일반 | 20% | 20% | |||||
청년 | 30% | 30% | ||||||
저소득 | 53% | 53% | 64% | 100% | ||||
추 가 | 청 년 19~34세->39세까지 |
혜택비교 후 큰 금액 지원 | 5만원까지 실부담 2만원 효과 |
청 년 19~34세->39세까지 |
||||
65세↑30% | 65세↑ 50% | 75세↑100% | ||||||
횟 수 |
최소 | 15회 | 금 액 기 반 | 15회 | 15회 | |||
최대 | 60회 | + 61회 ~ 무제한 | 60회 | 무제한 | ||||
재 원 | 국비 ·지방비 | 추가 혜택은 전액 지자체 재원 기반 |
K-패스에 회원가입한 날로부터 적립이 가능
1. K-패스 카드 발급
2. 홈페이지나 앱에서 반드시 회원가입
3. K-패스 카드로 대중교통이용
정부가 준다고 할때 꼭 챙기세요
K-패스는 그야말로 현대인의 필수 교통 복지 카드입니다.
우리모두 지금 바로 K-패스를 신청하고 대중교통비 환급의 기쁨을 누려보세요~
댓글